'Riverbed Modeler(OPNET) > IP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_icmp 프로세스 모델 (0) | 2022.03.21 |
---|---|
ICMP 패킷 처리 절차 (0) | 2021.12.12 |
다중링크 라우팅 (0) | 2021.01.07 |
IP 패킷 TTL 처리 (0) | 2020.10.11 |
IP 패킷 목적지 검사 (0) | 2020.06.07 |
ip_icmp 프로세스 모델 (0) | 2022.03.21 |
---|---|
ICMP 패킷 처리 절차 (0) | 2021.12.12 |
다중링크 라우팅 (0) | 2021.01.07 |
IP 패킷 TTL 처리 (0) | 2020.10.11 |
IP 패킷 목적지 검사 (0) | 2020.06.07 |
"라우팅 테이블과 포워딩 테이블"에서 설명한 것처럼, Riverbed(OPNET) Modeler에서 라우팅 테이블과 포워딩 테이블은 (비록 비슷한 정보가 저장된다 할지라도) 구분된다. 두 테이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RIP 라우팅 예제"에서 사용한 예제망을 통해 확인해 보기로 하자.
이 예제망에 실제로 할당된 IP주소 내역은 다음과 같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R1 노드에서 구성된 라우팅 테이블과 포워딩 테이블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RIP 라우팅 예제"에서는 아래의 포워딩 테이블을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살펴보기위해서 사용하였지만, 정확하게 말하자면 포워딩 테이블이다).
정보의 항목 수에서는 조금 차이가 있지만,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내용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포워딩 테이블이 라우팅 테이블보다 더 많은 정보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RIP 라우팅 테이블 구조 (0) | 2023.09.05 |
---|---|
라우팅 테이블과 포워딩 테이블 예제(3) - RIP & OSPF (0) | 2022.12.05 |
RIP 라우팅 예제 (0) | 2015.06.11 |
RIP에서의 네트워크 비용 (0) | 2015.05.10 |
다음 그림은 수신 버크 크기 자동 조정 기능이 실제로 잘 동작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TCP Window Scaling(1) - LFN에서의 동작"에서 사용한 시나리오를 수정한 시험망 토폴로지를 나타낸 것이다. STA 노드에서 Discarder_1 노드로 향하는 링크의 전송속도를 512K, DS1, OC3로 변경해가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는 "TCP Receive Buffer(2) - Auto-Tuning"에서 살펴본 것처럼, 수신 버퍼 크기가 BDP(Bandwidth Delay Product) 크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Server 노드에서 측정된 Remote Receive Window Size (bytes) 결과 항목의 값을 살펴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150초 무렵에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 후, 수신측(STA 노드)의 버퍼 크기가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신측(STA 노드)의 BDP가 클수록 수신 버퍼 크기의 최대값도 크다는 것도 알 수 있다.
TCP Duplicate SACK(1) - 파라미터 설정 (0) | 2024.07.29 |
---|---|
TCP 최소 가용 대역폭 (0) | 2022.06.23 |
TCP Receive Buffer(2) - Auto-Tuning (0) | 2020.11.09 |
OS별 TCP 프로파일 (17.5 버전) (0) | 2020.04.12 |
OS별 TCP 프로파일 (16.1 버전) (0) | 2019.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