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tuitous RREP(Route Reply) flag 정보는 RREQ 메시지("AODV 메시지(2) - RREQ 구조체" 참조)에서 사용되며, RREQ에 대한 응답을 중간 노드에서 대신 처리할 때 RREP를 목적지 노드로도 전송할지의 여부를 알린다[1]. 다음 그림은 사용자가 Gratuitous Route Reply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Riverbed(OPNET) Modeler에서 제공하는 속성 설정창을 보인 것이다.

 


설정 가능한 값은 Enabled와 Disabled이다.

- Enabled : 경로상 목적지 노드 이전에 위치한 중간 노드가 RREQ에 대한 응답 RREP를 생성하는 경우, 소스 노드 뿐만 아니라 목적지 노드로도 RREP를 전송한다.
- Disabed : 경로상 목적지 노드 이전에 위치한 중간 노드가 RREQ에 대한 응답 RREP를 생성하는 경우, 소스 노드로만 RREP를 전송한다.

 


[1] RFC 3561,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AODV) Routing", IETF, July 2003.

'Riverbed Modeler(OPNET) > AODV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ODV Destination Only Flag  (0) 2023.04.03
AODV Route Request Rate Limit  (0) 2021.06.10
AODV 메시지(7) - 패킷 크기  (0) 2020.05.24
AODV Route Request Retries  (0) 2020.01.14
AODV 메시지(6) - Hello  (0) 2019.11.02
Posted by 신상헌
,

Visual Studio 2022 버전이 나와있는 시점이지만, 아직도 어쩔 수 없이  Visual Studio 2013 버전을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있기에 정리해두고자 한다. (Riverbed Modeler는 2021년에 발표된 18.9.0 버전조차도 Visual Studio 2013 이하 버전만을 지원한다.)

1) https://visualstudio.microsoft.com/ko/vs/older-downloads/ 링크에 접속한다.

2) Visual Studio 2013 제품군을 선택한다.

3) 나열된 Visaul Studio 2013 제품군중에서 Visual Studio Community 2013 with Update 5 제품을 선택하고, 다운로드 받는다.

Express Edition 과 Community Edition 차이는, Express Edition은 규모 목적에 상관없이 기업에서도 사용 가능하지만 Community Edition은 기업 사용에 일부 제한이 있다는 점이다.("https://korbillgates.tistory.com/154"참조)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opnet카페 폐쇄  (0) 2018.10.07
블로그 명칭 변경  (0) 2014.09.17
NLS와 SLS  (0) 2010.12.15
블로그 용도 결정  (0) 2010.01.03
Posted by 신상헌
,

TDMA 모델에서 각 노드별로 자원 할당 크기를 사전에 지정하지 않고, 동적 할당("TDMA 자원 할당" 참조)을 사용하여도 트래픽이 정상적으로 전달됨을 살펴보기로 하자. 다음 그림은 이를 확인하기 위한 TDMA 예제망 구조를 보인 것이며, "TDMA 예제(1) - 균등 고정 할당"의 예제망 구조와 동일하다.

 


TDMA 프로파일로는 Default를 사용하였으며, 고정 할당되는 슬롯의 수는 STA_1, STA_2, STA_3, STA_4 노드 모두 0으로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각 노드에서 할당받은 프레임당 슬롯수를 살펴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노드별  슬롯 할당 수를 지정해주지 않았지만 노드별로 슬롯 할당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100초 ~ 300초 구간의 STA_3 노드처럼 특정 시간대에 전송해야할 트래픽이 많은 노드에 슬롯이 더 많이 할당된 것을 알 수 있다. 

 


STA_1 노드에서 STA_2 노드로 향한 트래픽의 송수신량을 살펴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STA_1 노드에서 발생한 트래픽이 STA_2 노드로 모두 전달되었음을 보여준다.

 


STA_3 노드에서 STA_4 노드로 향한 트래픽의 송수신량을 살펴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STA_3 노드에서 발생한 트래픽(200Kbps)도 STA_4 노드로 모두 전달되었음을 보여준다.

 

 

'Riverbed Modeler(OPNET) > TDMA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MA 자원 요청/할당 절차  (5) 2022.08.01
TDMA 예제(2) - 비균등 고정 할당  (0) 2021.04.08
TDMA 예제(1) - 균등 고정 할당  (0) 2020.07.04
TDMA 네트워크 제어기  (0) 2020.03.03
TDMA 자원할당 방식  (0) 2019.07.20
Posted by 신상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