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verbed(OPNET) Modeler에서 ICMP 메시지에 대한 실질적인 처리는 ip_icmp 프로세스 모델에서 담당한다. 다음은 ip_icmp 프로세스 모델의 FSM을 보인 것이다.

 


request_gen 스테이트에서는 Echo Request 메시지(Ping 요청에 사용)를 생성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request_rcvd 스테이트에서는 해당 노드가 목적지인 Echo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Echo Reply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ply_received 스테이트에서는 수신된 Echo Reply 메시지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Riverbed(OPNET) Modeler 18.0.3 버전("Riverbed Modeler 18.0.3 발표" 참조)에서는 ICMP 메시지들[1, 2] 중 Echo Request와 Echo Reply 메시지만 처리된다.

[1] RFC 792,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ETF, 1981. 
[2]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et_Control_Message_Protocol

'Riverbed Modeler(OPNET) > IP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MP 메시지(1) - 패킷 포맷  (0) 2022.11.12
ICMP 패킷 처리 절차  (0) 2021.12.12
IP 포워딩 테이블 구조  (0) 2021.11.07
다중링크 라우팅  (0) 2021.01.07
IP 패킷 TTL 처리  (0) 2020.10.11
Posted by 신상헌
,

프로파일 내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3) - 어플리케이션 반복 예제"와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4) - 반복 패턴 예제"에서 살펴보았다. 이제 프로파일 내에서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하자.
예제망 토폴로지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패턴(2) - Start Time 예제"에서 사용한 것을 그대로 사용였다.

 


복수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므로 기존의 FTP 어플리케이션외에 500KBytes 크기의 파일을 100초마다 전송하는 FTP 어플리케이션을 하나 더 추가하고, Offset은 200초로, Duration은 100초로 설정하였다. (당연히 FTP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여도 된다. 여기에서는 결과 해석의 편의성때문에 FTP를 다시 추가한 것이다)

 


먼저 어플리케이션들이 차례로 실행되도록 해보자. 어플리케이션 타이밍의 Repeatiablity를 Once at Start Time으로 설정하고, 프로파일 타이밍의 Operation Mode를 Serial (Ordered)로 설정하였을 때, GW_1 노드로부터 Client 노드로 전송되는 트래픽은 다음 그림과 같다.

 


200초 길이의 첫번째 어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되어 종료된 후,두번째 어플리케이션이 Offset 시간 200초후에 실행되어 100초간 실행되고 종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차례대로 원하는 시간 간격으로 실행시킬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시에 실행되도록 해보자.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설정을 가지고, 프로파일 타이밍의 Operation Mode를 Simultaneous로 설정하였을 때, GW_1 노드로부터 Client 노드로 전송되는 트래픽은 다음 그림과 같다.

 


첫번째 어플리케이션은 150초(Start Time 100초 + Offset 50초)에 시작되어 200초간 실행되고, 두번째 어플리케이션은 300초(Start Time 100초 + Offset 200초)에 시작되어 100초간 실행되었음이 확인된다. 300초에서는 두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시에 트래픽이 발생하여 다른 때보다 더 많은 트래픽이 기록되었음도 알 수 있다.

Posted by 신상헌
,

Gratuitous RREP(Route Reply) flag 정보는 RREQ 메시지("AODV 메시지(2) - RREQ 구조체" 참조)에서 사용되며, RREQ에 대한 응답을 중간 노드에서 대신 처리할 때 RREP를 목적지 노드로도 전송할지의 여부를 알린다[1]. 다음 그림은 사용자가 Gratuitous Route Reply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Riverbed(OPNET) Modeler에서 제공하는 속성 설정창을 보인 것이다.

 


설정 가능한 값은 Enabled와 Disabled이다.

- Enabled : 경로상 목적지 노드 이전에 위치한 중간 노드가 RREQ에 대한 응답 RREP를 생성하는 경우, 소스 노드 뿐만 아니라 목적지 노드로도 RREP를 전송한다.
- Disabed : 경로상 목적지 노드 이전에 위치한 중간 노드가 RREQ에 대한 응답 RREP를 생성하는 경우, 소스 노드로만 RREP를 전송한다.

 


[1] RFC 3561,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AODV) Routing", IETF, July 2003.

'Riverbed Modeler(OPNET) > AODV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ODV Destination Only Flag  (0) 2023.04.03
AODV Route Request Rate Limit  (0) 2021.06.10
AODV 메시지(7) - 패킷 크기  (0) 2020.05.24
AODV Route Request Retries  (0) 2020.01.14
AODV 메시지(6) - Hello  (0) 2019.11.02
Posted by 신상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