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R 커브를 조회할 때 입력값으로 사용하는 SNR은 수신 SNR이 아니라 수신 SNR에 프로세싱 게인(Gain)이 더해진 실효(Effective) SNR이다. OPNET 16.1 버전("OPNET Modeler 16.1 PL1 발표" 참조)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별("WiFi MCS 레벨 (16.1 버전)" 참조) 프로세싱 게인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WiFi 모델에서의 통신 가능 거리(2)"에서 1Mbps의 Data rate인 경우에 대해 프로세싱 게인 값으로 10.414를 적용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Posted by 신상헌
,

UCMP가 사용되면 다중 경로를 통해 트래픽이 분산됨은 "다중경로 라우팅(7) - UCMP"에서 트래픽 유통량을 통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라우팅 테이블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확인해 보도록 하자. 사용된 예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실제로 할당된 IP주소 내역은 다음과 같다.

 

UCMP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 R1 노드에 구성된 라우팅 테이블을 살펴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라우팅 경로 확인하기" 참조). Server 노드가 속한 서브네트워크로 향하는 경로가 하나 뿐인 것을 알 수 있다.

 


UCMP가 사용되는 경우에, R1 노드에 구성된 라우팅 테이블을 살펴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Server 노드가 속한 서브네트워크로 향하는 경로가 두 개이며, 두 경로의 비용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Posted by 신상헌
,

TDMA 자원(슬롯) 할당 방식은 고정 할당(static allocation) 방식과 동적 할당(dynamic allocation)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Riverbed(OPNET) Modeler TDMA 모델은 이 두가지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 고정 할당: 각 노드의 트래픽 전송량과는 관계없이 사전에 지정된 크기의 슬롯을 매 프레임마다 계속 할당.
- 동적 할당: 각 노드는 트래픽 전송에 필요한 크기만큼의 슬롯을 제어 노드로 요청하고, 제어 노드는 매 프레임마다 가변적으로 슬롯 할당.

 


또는, 이 두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매 프레임마다 지정된 크기의 슬롯을 계속 할당하되, 해당 노드에서 더 많은 슬롯을 요청하면 추가적인 슬롯을 할당해주는 것이다.

'Riverbed Modeler(OPNET) > TDMA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MA 예제(2) - 비균등 고정 할당  (0) 2021.04.08
TDMA 예제(1) - 균등 고정 할당  (0) 2020.07.04
TDMA 네트워크 제어기  (0) 2020.03.03
TDMA 프레임 구조  (0) 2019.01.01
TDMA 모델 개요  (0) 2018.09.04
Posted by 신상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