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GRP에서는 Metric에 대한 변량(Variance)을 지정해 줄 수 있으며[1, 2], Riverbed Modeler(OPNET)에도 구현되어 있다. 이 variance 값은 다중경로 라우팅에 사용된다. 다음 그림은 Riverbed Modeler(OPNET)에서 제공하는 EIGRP Variance 설정창을 보인 것이다.

 


Variance 값은 어느 범위까지의 Metric을 가지는 경로들을 라우팅 테이블에 유지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것으로, 현재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최소 Metric에 Variance를 곱한 것보다 작은 Metric 값을 가지는 경로들은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한다.
따라서, Variance가 1인 경우에는 Metric 값이 동일한 경로들만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하므로, ECMP("다중경로 라우팅(1) - ECMP" 참조)와 같아지지만, Variance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비용이 다른 여러 개의 경로들도 트래픽 부하분산(Unequal-Cost Load Balancing)이 이루어지므로 ECMP와는 큰 차이가 나게 된다.

 

[1] http://www.cisco.com/c/en/us/support/docs/ip/enhanced-interior-gateway-routing-protocol-eigrp/16406-eigrp-toc.html#eigrpmetrics
[2] http://www.cisco.com/c/en/us/support/docs/ip/enhanced-interior-gateway-routing-protocol-eigrp/13677-19.html

Posted by 신상헌
,

NBMA(Non-Broadcast Multi-Access) 네트워크에서는 OSPF가 NBMA 모드로 동작할 수 있음을 "OSPF NBMA 모드"에서 살펴보았다. OSPF가 NBMA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이웃 라우터들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1], 실 장비에서는 neighbor 명령어를 통해 설정된다[2, 3].
NBMA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이웃 라우터를 발견할 수 없는 것은 모든 라우터에 해당하므로, 이웃 정보 설정은 원칙적으로 모든 라우터에서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어느 라우터가 DR로 선출될지 미리 알고 있다면("OSPF DR(2) - Router Priority" 참조), DR로 선출될 라우터에만 이웃 정보 설정을 해주어도 NBMA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은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OSPF NBMA 모드"에서 사용한 시나리오를 수정하여 작성한 시험망 구조이다. R2 노드의 Neighbor List만 남겨두고, R1, R3, R4 노드의 Neighor List 정보는 모두 삭제하였으며, Priority를 조절하여 R2 노드가 DR로 선출되도록 하였다.

 


Client 노드에서 Server 노드로 향하는 트래픽의 송/수신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lient 노드에서 Server 노드로 트래픽이 잘 전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Neighbor List를 R2 노드에만 설정해주었다고해서, 이 트래픽이 R2 노드를 거쳐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다음 그림처럼 R1 노드에서 ATM_SW 노드로 전달되는 트래픽과, AMT_SW 노드에서 R2, R4 노드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비교해보면 명확하게 알 수 있다.

 

 

[1] RFC 2328, "OSPF Version 2", IETF, Apr. 1998.
[2] http://www.cisco.com/c/en/us/support/docs/ip/open-shortest-path-first-ospf/13690-18.html
[3] http://egloos.zum.com/light99/v/5159722

'Riverbed Modeler(OPNET) > OSPF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PF 프로세스 모델 구조  (0) 2019.09.10
OSPF Broadcast 모드와 NBMA 모드 비교  (0) 2019.07.16
OSPF NBMA 모드  (0) 2019.01.19
OSPF 인터페이스 종류  (0) 2018.12.16
OSPF DR(5) - 메시지 Encapsulation  (0) 2018.08.14
Posted by 신상헌
,

사용자 트래픽은 어플리케이션이 만들어내는 패킷에 의해 발생한다. Riverbed(OPNET) Modeler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모의할 수 있도록 Database, Email, Ftp, Http, Print, Peer-to-peer File Sharing, Remote Login, Video Conferencing, Video Streaming, Voice, Custom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 모델을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 모델은 설정된 속성값에 따라 패킷을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며, 동일한 프로세스 모델에 대해서도 속성값을 어떻게 설정해주는가에 따라 생성되는 패킷의 패턴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속성값을 시뮬레이션 대상과 유사하게 설정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Riverbed(OPNET) Modeler에서 사전에 설정해 둔 어플케이션 설정값 조합이 표준 어플리케이션 모델이다.
다음 그림은 Riverbed Modeler 18.0.3 버전("Riverbed Modeler 18.0.3 발표" 참조)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 모델과 표준 어플리케이션 모델, 그리고 모델간의 대응 관계를 보인 것이다.

 


표준 어플리케이션 모델중 Peer-to-peer File Sharing, Mobile User 어플리케이션은 17.5 PL3 버전("OPNET Modeler 17.5 PL3 발표" 참조)에서 추가된 것이며, Video Streaming 어플리케이션은 17.5 PL4 버전("OPNET Modeler 17.5 PL4 발표" 참조)에서 추가된 것이다.

 

Posted by 신상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