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 Broadcast 모드는 Broadcast(BMA)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방식이고, OSPF NBMA 모드는 NBMA 네트워크에서는 사용되는 방식이다. 두 방식은 모두 DR을 사용("OSPF DR(1) - 라우터 상태" 참조)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러면, Broadcast 모드와 NBMA 모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두 방식에서 사용하는 목적지 IP 주소이다.
Broadcast 모드에서는 유니캐스트 주소뿐만 아니라 멀티캐스트 주소가 함께 사용되지만("OSPF DR(5) - 메시지 Encapsulation" 참조), NBMA 모드에서는 유니캐스트 주소만 사용되며 멀티캐스트 주소는 사용되지 않는다("OSPF NBMA 모드" 참조). 다음의 표는 이를 비교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Broadcast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MAC 계층에서 멀티캐스팅을 지원해야만 한다.

Posted by 신상헌
,

Riverbed(OPNET) Modeler 시나리오상에 배치한 라우터나 단말 노드로 ping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것이 가능함은 "SITL Ping 예제(1)"에서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좀 더 복잡한 망 구조에서도 이러한 시험이 가능함을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다음은 좀 더 복잡한 망 구조에서 ping 응답 시험을 위한 포토로지 구성과 IP 주소 설정을 보인 것이다.

 

SITL GW를 통해 연동된 실장비에서 시나리오상의 Access_2 노드(라우터)로 ping 요청을 보냈을 경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라우터 여러 대를 거쳐서도 ping 응답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iverbed Modeler(OPNET) > SITL Modu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TL tracert 예제(2)  (0) 2020.04.01
SITL tracert 예제(1)  (0) 2019.11.05
SITL Ping 예제(1)  (6) 2019.01.06
SITL 사용시 사용자 권한 오류  (3) 2018.08.02
Real-time execution ratio  (0) 2017.03.15
Posted by 신상헌
,

Route Reply Acknowledgment(RREP-ACK) 메시지는 RREP 메시지에 대한 수신확인을 위해 사용되며, Riverbed(OPNET) Modeler AODV 모델에서는 "AODV 메시지(1) - 패킷 포맷"에서 살펴본 것처럼 공통 AODV 패킷 포맷의 Options 필드에 RERR-ACK 메시지에 대한 구조체를 싣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다만, RREP-ACK 메시지에는 단지 Type 정보만이 필요하므로, RREQ, RREP, RERR 메시지와는 달리 별도의 구조체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AODV 패킷 옵션에 대한 공통 구조체만을 사용한다. 다음 그림은 AODV 모델에서 사용 하는 패킷 포맷과 RREP-ACK 메시지일 경우 Options 필드에 실리는 정보를 표준[1]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AODV 모델에 구현된 RREP-ACK 메시지 구조체와 표준이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1] RFC 3561,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AODV) Routing", IETF, July 2003.

'Riverbed Modeler(OPNET) > AODV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ODV Route Request Retries  (0) 2020.01.14
AODV 메시지(6) - Hello  (0) 2019.11.02
AODV 메시지(4) - RERR 구조체  (0) 2019.02.02
AODV 메시지(3) - RREP 구조체  (0) 2018.09.01
AODV 메시지(2) - RREQ 구조체  (0) 2018.05.01
Posted by 신상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