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NET에서 WiF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노드들간의 통신 가능거리는 얼마인지에 대한 질문을 받은 적이 여러번 있다.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을 주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데, 왜냐하면 통신 가능 거리는 매우 많은 요소들(ex: 주파수, 송신출력, 송/수신 안테나 이득, 지형 모델, path-loss 모델, interference, 변조방식, BER 커브...)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변화하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설정해주는 조건에 따라 그때그때 달라지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아마도 대학교 연구실에서 많이 사용하리라고 생각되는) OPNET WLAN 노드 모델의 기본 설정을 그대로 사용하고, 지형모델(TMM)을 적용하지 않았으며, 아무런 interference 신호도 존재하지 않을 경우로 한정지어서 WiF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노드들간의 통신 가능 거리가 얼마인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통신가능 거리는 BER을 기준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데,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BER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대거리라고 할 수 있다. 서비스 종류 및 사용되는 에러 복구 기법들에 따라 요구되는 BER은 달라지겠지만, 여기에서는 10^-4을 허용 BER 기준으로 보고 통신 가능 거리를 구해보도록 하자. OPNET WiFi 모델에서 "Data Rate (bps)"의 기본값은 11Mbps이며, 이 때 사용되는 모듈레이션 방식은 CCK(Complete code keying)이다. 다음은 OPNET에서 사용하는 11Mbps CCK 방식에서의 BER 커브인데, 10^-4이하의 BER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큰 값은 SNR이 7.25dB일 때 BER이 0.000081인 경우이다. 따라서, BER을 10^-4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신 신호의 SNR이 7.25dB이상이 되도록 유지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NR은 노이즈에 대한 수신신호의 강도인데, 지금 우리는 아무런 interference 신호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다루고 있으므로 노이즈는 백그라운드 노이즈만이 존재한다. 백그라운드 노이즈는 dra_bkgnoise 스테이지에서 계산되는데, 수신 노드의 위치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다.
22MHz 대역폭을 사용하는 WiFi에서 계산된 백그라운드 노이즈 값은 8.7980419999*10^-14 watt이다. 따라서, 수신 노드에서 7.25dB의 SNR을 가지기 위한 수신 신호의 강도가 4.67074*10^-13 watt임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송신 노드에서는 5mW의 출력으로 신호를 내보내며, 이 신호는 별도의 path-loss 없이 자유공간(Free Space)에서의 기본 전파 손실만을 겪는다. 이러한 기본적인 path-loss는 wlan_power 파이프라인 스테이지에서 반영되는데, 다음과 같은 계산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으며, dBm이 아닌 Watt단위의 계산을 위해서 log를 취하지 않았음에 유의하기 바란다.
수신 신호의 파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되는데, 송신 안테나 이득과 수신 안테나 이득은 반영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1이다. 따라서, 수신 신호 파워는 단순히 송신 출력에 자유 공간에서의 전파손실을 곱하는 형태로 계산된다.
그러므로, 수신 신호가 4.67074*10^-13 (watt)가 되는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 할 수 있다. (WiFi 모델에서 중심 주파수는 2,401Hz + 22MHz/2 = 2,412MHz가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lambda = C / 2,412MHz = 0.124378109452736M이다)
계산 결과로부터 10^-4의 BER을 만족하는 통신가능 거리는 1,024M임을 알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이 1025M부터는 통신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님에 주의하기 바란다. BER <= 10^-4을 만족하는 최대 거리가 1024M라는 것이며, 그 이상의 거리에서도 신호 전달은 이루어지지만 에러율(BER)이 우리가 정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Riverbed Modeler(OPNET) > WLAN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Fi에서의 throughput(2) - 802.11b TCP throughput (0) | 2012.09.08 |
---|---|
WiFi에서의 throughput(1) - 802.11b 최대 throughput (2) | 2012.07.22 |
WiFi 모델에서의 통신 가능거리(3) (0) | 2012.05.16 |
WLAN PLCP 오버헤드 크기 (0) | 2011.01.16 |
WiFi 모델에서의 통신 가능 거리(2) (0) | 201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