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2010년 8월17일) OPNET Modeler 16.0 PL4 버전이 발표되었습니다(이전 버전에 관한 내용은 "OPNET Modeler 16.0.A PL1 발표" 참조). 일종의 마이너 업그레이드인지라 특별한 변경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LTE 모델은 상당한 변화가 있는 모양입니다. 먼저, User Forum에 올라온 안내에는 다음과 같이 3DNV의 새로운 버전(3.0)에 대한 안내만 있습니다.
- Higher quality graphics
- Rich content: mor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human figures, and dynamic visualization of vegetation and weather effects
Higher quality graphics가 상당히 중요한 항목인 것 같기는 합니다만,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그다지 흥미가 생기지 않는군요. Release note를 살펴보니, 세부적인 기능변화보다는 Compatibility 부분이 눈에 띄입니다. Modeler 16.0 PL4 버전에서는 3DNV 3.0 버전만이 사용가능하며 3DNV 2.x 버전은 사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 또한 몇가지 결과 파일들의 호환에 문제가 있는 모양입니다.
공지에는 없지만, Release note에 중요한 모델관련 변경사항들이 있습니다. 역시 요즘 주된 업데이트 대상은 LTE인 듯 합니다. LTE 모델의 변경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Support for Physical Layer
- Support for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HARQ)
- Support for Radio Link Control (RLC) Acknowledged Mode
- New Node Models
- New Report Available
PHY 부분에 있어서 Pathloss model로는 Macrocell suburban based on COST231 Hata Urban model, Macrocell burban based on COST231 Hata Urban model, Microcell urban based on COST231 Walfish-Ikegami, ITU pedestrian and vehicular, Erceg suburban fixed가 제공된다고 합니다. Shadow 페이딩은 normal distribution model이 지원되며, Multipath 페이딩에 있어서는 ITU Pedestrian A and B, ITU Vehicular A and B가 제공된다고 합니다. WiMAX 모델의 경우를 생각해보면 PHY쪽의 지원이 굉장히 빨리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HARQ는 IR 타입이 DL/UL 모두 지원된다고 하네요. LTE에서 HARQ 지원에 대한 언급을 본 것은 처음인 것 같은데, IR부터 지원하는 것은 조금 의외입니다. 구현하기는 CC 타입이 더 쉬웠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그리고, RLC에서 Acknowledged Mode가 지원된다고 합니다.
WiMAX 모델의 변경 내용은, Control message들도 이제 PHY해서 전달된다는 점과, DSA-ACK 메시지가 추가되었다는 점입니다. 제어 메시지의 지연이나 소실은 시뮬레이션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의미있는 개선이라고 생각됩니다. DSA-ACK의 경우, 사실 시뮬레이션 결과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는 사항은 아닙니다만, DSA-REQ와 DSA-RSP 메시지는 있는데 DSA-ACK만 없어서 그동안 상당히 의아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잘못되어 있었다는 것을 이제 알아챈 모양입니다.
이외에도 몇 가지 수정된 사항이 있지만, 특별히 관심가는 내용이 없어서 생략합니다.
- Higher quality graphics
- Rich content: mor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human figures, and dynamic visualization of vegetation and weather effects
Higher quality graphics가 상당히 중요한 항목인 것 같기는 합니다만,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그다지 흥미가 생기지 않는군요. Release note를 살펴보니, 세부적인 기능변화보다는 Compatibility 부분이 눈에 띄입니다. Modeler 16.0 PL4 버전에서는 3DNV 3.0 버전만이 사용가능하며 3DNV 2.x 버전은 사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 또한 몇가지 결과 파일들의 호환에 문제가 있는 모양입니다.
공지에는 없지만, Release note에 중요한 모델관련 변경사항들이 있습니다. 역시 요즘 주된 업데이트 대상은 LTE인 듯 합니다. LTE 모델의 변경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Support for Physical Layer
- Support for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HARQ)
- Support for Radio Link Control (RLC) Acknowledged Mode
- New Node Models
- New Report Available
PHY 부분에 있어서 Pathloss model로는 Macrocell suburban based on COST231 Hata Urban model, Macrocell burban based on COST231 Hata Urban model, Microcell urban based on COST231 Walfish-Ikegami, ITU pedestrian and vehicular, Erceg suburban fixed가 제공된다고 합니다. Shadow 페이딩은 normal distribution model이 지원되며, Multipath 페이딩에 있어서는 ITU Pedestrian A and B, ITU Vehicular A and B가 제공된다고 합니다. WiMAX 모델의 경우를 생각해보면 PHY쪽의 지원이 굉장히 빨리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HARQ는 IR 타입이 DL/UL 모두 지원된다고 하네요. LTE에서 HARQ 지원에 대한 언급을 본 것은 처음인 것 같은데, IR부터 지원하는 것은 조금 의외입니다. 구현하기는 CC 타입이 더 쉬웠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그리고, RLC에서 Acknowledged Mode가 지원된다고 합니다.
WiMAX 모델의 변경 내용은, Control message들도 이제 PHY해서 전달된다는 점과, DSA-ACK 메시지가 추가되었다는 점입니다. 제어 메시지의 지연이나 소실은 시뮬레이션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의미있는 개선이라고 생각됩니다. DSA-ACK의 경우, 사실 시뮬레이션 결과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는 사항은 아닙니다만, DSA-REQ와 DSA-RSP 메시지는 있는데 DSA-ACK만 없어서 그동안 상당히 의아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잘못되어 있었다는 것을 이제 알아챈 모양입니다.
이외에도 몇 가지 수정된 사항이 있지만, 특별히 관심가는 내용이 없어서 생략합니다.
'Riverbed Modeler(OPNET) > Release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NET Modeler 17.1 PL2 발표 (0) | 2012.08.01 |
---|---|
OPNET Modeler 17.1 PL1 발표 (0) | 2011.10.23 |
OPNET Modeler 16.1 PL1 발표 (0) | 2011.06.07 |
OPNET Modeler 16.0 PL6 발표 (0) | 2010.11.09 |
OPNET Modeler 16.0.A PL1 발표 (0) | 2010.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