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MAX 모델(122) - 서브캐리어와 서브채널간 맵핑"에서 설명한 것처럼 CochannelT_zone_perm_data 구조체에는 cum_overlap_pointer_matrix 멤버와 cum_overlap_non_datra_array 멤버가 있어서, 섹터들간의 주파수 중첩 정보도 저장한다.
동일한 zone type을 상요하는 경우 중첩 발생이 가능한 경우의 수는 사용 중인 permutation base의 갯수의 제곱이며, 각각의 경우에 대한 서브채널별 서브캐리어 중첩정보가 "WiMAX 모델(120) - Subcarrier overlap matrix"에서 설명한 것처럼 계산되어 1차원 행렬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이후의 burst 단위의 중첩 서브캐리어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cumulative overlap matrix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된다는 점이다. 다음 그림은 "WiMAX 모델(120) - Subcarrier overlap matrix"에서 예로 들었던 정보를 이용하여 섹터-1의 subchannel 7 ~ 11과 섹터-2의 subchannel 5 ~ 7 사이의 cumulative overlap matrix로의 변환을 설명한 것이다. 왼쪽은 원래의 overlap matrix를 표현한 것이며, 오른쪽은 cumulative overlap matrix를 표현한 것이다. overlap matrix를 cumulative overlap matrix로 변환하는 공식은 (i, j) = (i, j) + (i, j-1) + (i-1, j) - (i-1, j-1)이다. 즉, 섹터-1의 subchannnel 7과 섹터-2의 subchannel 5에 대해서 계산한다면, 1 + 31 + 30 - 26 = 36이 된다.
이제 섹터-1에서 subchannel 7 ~ 11을 사용하는 Burst가 섹터-2의 subchannel 5 ~ 7을 사용하는 burst와 중첩된 경우에 대하여 중첩되는 서브캐리어의 총 수를 구해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왼쪽은 원래의 overlap matrix를 사용한 경우이며, 오른쪽은 cumulative overlap matrix를 사용한 경우이다. 원래의 overlap matrix를 사용하면 14번의 덧셈이 필요하지만, cumulative overlap matrix를 사용하면 뺄셈 2번과 덧셈 1번만이 필요하므로 수행 속도가 빨라진다.
'Riverbed Modeler(OPNET) > WiMAX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MAX 모델(128) - Multi-path fading (0) | 2015.12.01 |
---|---|
WiMAX 모델(126) - UL 동일 채널 간섭 계산시 특수 상황 (0) | 2015.09.01 |
WiMAX 모델(122) - 서브캐리어와 서브채널간 맵핑 (0) | 2015.06.01 |
WiMAX 모델(120) - Subcarrier overlap matrix (0) | 2015.04.13 |
WiMAX 모델(118) - Burst 단위의 동일 채널 간섭 계산 (0) | 201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