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가 BS로 데이터를 전달히기 위해서는 반드시 BS로부터 대역폭 자원을 할당받아야만 한다. 대역폭을 할당받는 절차는 3가지 경우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1) UGS 또는 ert-PS connection인 경우, 2) rt-PS 또는 nrt-PS connection인 경우, 3) BE connection인 경우이다.
UGS나 ert-PS connection인 경우의 데이터 전송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다. BW 요청은 SS에서 보내지지 않으며, BS에서 내부적으로 생성된다. 이 BW 요청에 의해서 BW 자원이 할당되면 UL-MAP을 통해 SS에게 알려지고, SS는 할당된 BW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BS로 전송한다.
rt-PS나 nrt-PS connection인 경우의 데이터 전송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다. BS는 해당 SS에 대해서 주기적인 polling을 UL-MAP을 통해서 하며, 이 때 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면 SS는 BW 요청 메시지를 BS로 보낸다. 이 요청에 의해서 BW 자원이 할당되면 UL-MAP을 통해 SS에게 알려지고, SS는 할당된 BW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BS로 전송한다.
BE connection인 경우의 데이터 전송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다. Contention 방식의 BW 요청을 위한 자원 정보는 매 프레임마다 UL-MAP을 통해서 SS들에게 알려지며, 이 때 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면 SS는 BW 요청 메시지를 BS로 보낸다. 이 요청이 성공적으로 BS에게 전달되고 BW 자원이 할당되면, UL-MAP을 통해 SS에게 알려지고, SS는 할당된 BW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BS로 전송한다.
'Riverbed Modeler(OPNET) > WiMAX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MAX 모델(30) - SS 스케줄러 (0) | 2012.07.02 |
---|---|
WiMAX 모델(28) - UL 구간의 데이터 패킷 전송 (표준과의 비교) (0) | 2012.06.19 |
WiMAX 모델(24) - 상위계층으로부터 도착한 데이터 패킷 처리 (0) | 2012.04.23 |
WiMAX 모델(23) - MAC 데이타 평면 (표준과의 비교) (0) | 2012.03.25 |
WiMAX 모델(22) - MAC 데이타 평면: 수신측 (0) | 201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