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OPNET 한글 교재를 드디어 정식으로 출판하였습니다. 제목은 "OPNET 중급입문"이고, 기본적인 OPNET 사용법을 알고 있는 분들을 위한 예제 실습 위주의 책입니다.
ISBN은 978-89-7283-903-3 이고, 오늘부터 교보문고에서 검색이 되네요.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72839033&orderClick=LAG


첫 번째 OPNET 한글 교재인 "OPNET 기초다지기"가 2008년 1월에 나왔으니 거의 3년이 지났네요. 처음 계획은 2009년 상반기에 두 번째 교재를 내놓을 생각이었습니다만, 바쁜 직장생활과 공동작업 조율의 어려움, 그리고 편집 방향의 수정등으로 인하여 계획에서 1년이나 훌쩍 뒤쳐진 지금에서야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 교재 작업을 시작할때의 기획 의도는 중급자를 위한 OPNET 활용서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실습예제 중심의 교재가 필요하는 의견이 여러차례 있어서 책 내용을 수정하다보니, 시간도 많이 걸렸거니와 중급자를 위한 활용서라기보다는 중급자가 되기위한 연습문제서가 되어 버렸습니다. 따라서, 어떤 측면에서는 지난번 "OPNET 기초다지기"보다도 학습하기에 더 쉬운 부분도 많으며, 교재의 제목이 "OPNET 중급입문"이라는 다소 어정쩡한 이름으로 결정된 것도 이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처음의 기획의도가 변경된 것에 대해서는 후회하지 않으며, 사용자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부분을 반영하여 출판할 수 있었다는 것은 무척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OPNET 고급사용자를 위한 세번째 교재는 "OPNET 기초다지기"의 개정작업때문에 잠시 미루어질 것 같습니다. "OPNET 기초다지기"가 출판된지 거의 3년이 지나서 GUI나 사용법이 달라진 부분들이 있는데다가, 보완이 필요한 부분들이 여러 곳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이 국내의 OPNET 사용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신상헌

Posted by 신상헌
,

지난 11월4일에 OPNET Modeler의 세번째 16.0 버전인 PL6가 발표되었습니다. (이전 버전에 관한 내용은 "OPNET Modeler 16.0 PL4 발표" 참조) 마이너 업그레이드인데도 불구하고 LTE 모델은 상당한 변화가 있는 모양입니다. 역시나, 최근의 주된 업데이트 대상은 LTE가 맞는 것 같습니다. 먼저 User Forum에 올라온 안내는 다음과 같습니다.

- LTE Specialized Model update, including the following significant features: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and rate adaptation
    Channel dependent scheduling
    Initial cell selection
    Energy consumption model
    Single-cell downlink broadcast
- TCP model extensions to support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eal application packets
- Wireless Network Deployment Wizard enhancements to support LTE and TDMA network creation

각 변경사항을 Release notes를 통해 좀더 살펴보겠습니다.

CQI report가 지원됨에 따라 해당 링크의 BLER을 일정 수준으로 계속 유지시켜줄수 있는 link rate adaptation 기능이 제공된다고 합니다. 즉, UE가 보고해주는 채널 상태(CQI report)에 따라, 적용되는 MCS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이런 기능을 AMC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은데, 굳이 link rate adaptation으로 표현한 이유가 궁금하네요. (LTE의 고집인가요?)

Channel dependent scheduling은 무선 채널의 현재 상태를 스케줄링시에 고려요소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종의 Cross-layer scheduling이라고 불 수 있겠네요. 다만, release notes의 설명에 의하면 채널의 상태에 따라 리소스 할당량을 조절하는 기능은 고려되어 있지 않고, 각 단말이 사용하는 subband를 조절해주는 기능만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WiMAX에서의 Band AMC와 유사한 기능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Band AMC가 다른 통신 방식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인지는 모르겠습니다)

Initial cell selection은 조금 의아합니다. UE가 eNodeB와 연결되기 위해서 수행되는 cell search, synchronization, measurement, selection 절차를 말하는 것 같은데, 이 기능이 이번에 추가된 거라면 기존에는 이 기능없이 어떻게 동작했었다는 것인지 좀 당황스럽네요.

Energy consumption model은 UE와 eNodeB가 소비한 전력을 측정해서 배터리의 수명을 예측해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전력 소모량을 측정하는 기능의 경우, 사용자들이 필요에 따라 구현해서 사용하는 경우는 봤어도 이렇게 정식 모듈에 구현되는 것은 보지 못했던 것 같아서 상당히 새롭게 느껴집니다.

Downlink broadcast and multicast는 말 그대로 multicast 혹은 broadcast 패킷이 EPC 노드에 도착했을 때, 모든 eNodeB 및 UE로 전달되는 기능을 말합니다. 물론 multicast 패킷의 경우 해당 multicast group에 속하지 않은 노드에서는 폐기됩니다.

TCP 모델의 확장은 OPNET이 TCP를 사용하는 실제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기위한 것입니다.
OPNET TCP 모델에 사용된 oms_sar 패키지에서 TCP 패킷 페이로드에 이미지나 텍스트와 같은 실제 데이터를 싣거나 다룰 수 있게 되었으며, SITL과 HLA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기능이 활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SITL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Real-Sim-Real 형태의 구성에서는 OPNET의 TCP 모델과 실제 TCP 구현물이 통신할 일이 거의 없으므로, 새로운 기능은 주로 Real-Sim 형태의 구성을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Real-Sim-Real 형태의 구성이 주로 사용됐던 것도, Real-Sim 형태의 구성이 실질적으로는 매우 어렵다는 이유가 큰 부분이었으므로 앞으로는 Sim-Real 형태에 대한 SITL 사용이 증가할 것 같습니다)
HLA의 경우, TCP 레벨에서 직접 HLA를 통해 외부 시뮬레이터와 연동시켜야하는 경우가 있을지 약간 의문이긴 합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충분히 적용 가능하리라고 생각됩니다.

Wireless Network Deploment Wizard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신지 모르겠습니다만(사용되니까 계속 지원하고 있는 것이겠죠?), LTE와 TDMA도 이제 지원된다고 합니다. TDMA는 14.5 PL8 버전에서부터, LTE는 16.0 PL1 버전에서부터 정식으로 포함되었으므로, 가장 최근에 지원된 프로토콜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몇 가지 수정된 사항들이 있지만, 특별히 관심가는 내용이 아니라서 생략합니다.

'Riverbed Modeler(OPNET) > Release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NET Modeler 17.1 PL2 발표  (0) 2012.08.01
OPNET Modeler 17.1 PL1 발표  (0) 2011.10.23
OPNET Modeler 16.1 PL1 발표  (0) 2011.06.07
OPNET Modeler 16.0 PL4 발표  (0) 2010.08.17
OPNET Modeler 16.0.A PL1 발표  (0) 2010.01.03
Posted by 신상헌
,
지난 10월16일에 발표된 OPNET사의 공지에 의하면 앞으로는 Windows 2000을 지원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현재의 16.0 버전이 Windows 20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마지막 OPNET 버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Modeler 및 IT Guru 모두 해당)
혹시라도 아직까지 Windows 2000을 사용하고 있던 사용자라면, 이제 OS를 업그레이드 할 시기가 된 것 같다.
Posted by 신상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