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MAX 모델(114) - 동일 채널 간섭"에서 살펴본 것처럼, OPNET WiMAX 모델에는 다른 기지국(섹터)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대한 동일 채널 간섭(Co-channel interference)이 반영되어 있다. 이 때, 시뮬레이터 구현상의 편의를 위하여 몇 가지 사항들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 외의 경우에 대해서는 처리해주지 않는다. 즉, OPNET WiMAX 모델의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다.
1) 간섭(interference)는 동일한 PHY Profile을 사용하는 기지국/단말들 사이의 경우에 대해서만 고려한다. 따라서, 조금이라도 다른 PHY Profile을 사용하는 기지국(섹터) 사이에는 동일 채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처리된다.
2) 기지국(섹터)들간의 서브 프레임 경계가 확실히 일치한다고 가정한다. 즉, DL 프레임은 DL 프레임끼리만, UL 프레임은 UL 프레임 끼리만 간섭이 발생하며, DL 프레임과 UL 프레임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3) DL 서브 프레임 내에서 Permutation Zone의 경계는 이웃 기지국(섹터)와 다를 수 있다. 이는 MAP에 사용되는 Zone과 데이터 전달에 사용되는 Zone이 서로 다른 Permutation Zone 방식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는 16.0 버전에서 변경된 기능으로, 15.0 버전 이전에서는 DL에도 한 개의 Permutation Zone만 사용될 수 있었다). UL에는 한 개의 Zone Type만 사용되므로 Zone의 경계가 이웃 기지국(섹터)와 항상 일치한다(기지국들간의 서브 프레임 경계가 정확히 일치한다고 가정하고 있으므로).
'Riverbed Modeler(OPNET) > WiMAX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MAX 모델(120) - Subcarrier overlap matrix (0) | 2015.04.13 |
---|---|
WiMAX 모델(118) - Burst 단위의 동일 채널 간섭 계산 (0) | 2015.03.06 |
WiMAX 모델(114) - 동일 채널 간섭 (0) | 2015.01.07 |
WiMAX 모델(112) - ITU Vehicular 모델 (0) | 2014.12.01 |
WiMAX 모델(110) - ITU Pedestrian 모델 (0) | 201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