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ceg은 NLOS 환경에서의 pathloss 모델로서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서 계산된다. Terrain Type에 따라 A(Hilly/Moderate-to-Heavy Tree Density), B(Hilly/Light Tree Density or Flat/Moderate-to-Heavy Tree Density), C(Flat/Light Tree Density)로 구분되며, 각 경우에 따른 계수값은 다음 그림과 같다.
Frequency 보정 항목(PLf)과 Antenna Height 모정 항목(PLh)은 원래의 Erceg 모델[2]이 1.9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단말 안테나가 2미터 높이에 위치한 경우를 가정한 것이기 때문에, 그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pathloss 수식은 shadow fading을 포함하며, shadow fading 값은 GUI를 통해 설정된 표준편차 값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수행시에 랜덤하게 생성된다.
Erceg 모델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개념적으로 살펴보면, 거리, 주파수, 기지국 높이, 단말 높이, 지형 종류를 입력받아서 shadow fading을 포함하는 pathloss 값을 결과값으로 출력한다.
[1] V. Erceg, etal., "Channel Models for Fixed Wireless Applications," IEEE 802.16.3c-01/29r4, July 2001.
[2] V. Erceg, et al., "An empirically based path loss model for wireless channels in suburban environments," IEEE JSAC, vol. 17, no. 7, July 1999, pp. 1205-1211.
'Riverbed Modeler(OPNET) > WiMAX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MAX 모델(110) - ITU Pedestrian 모델 (0) | 2014.10.30 |
---|---|
WiMAX 모델(109) - Erceg 모델 (표준과의 비교) (0) | 2014.10.04 |
WiMAX 모델(105) - Pathloss 계산 (0) | 2014.08.23 |
WiMAX 모델(102) - PHY 모델 블럭 (0) | 2014.08.04 |
WiMAX 모델(100) - ASN-GW (0) | 2014.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