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ging을 위한 CDMA 코드는 144비트의 길이를 가지도록 표준[1]에 정의되어 있으며, 이는 OPNET WiMAX 모델 "wimax_cdma" 패킷의 "CDMA Code" 필드 크기와 일치한다. 하지만, 표준[1]에서는 PRBS(Pseudo-random binary sequence) 발생기를 통해 생성된 144비트 길이의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도록 되어있는 반면, OPNET에서는 실제 코드를 발생시키지 않고 코드값을 구분하는 index만을 사용한다. (시뮬레이션에서는 이런 방법을 사용하여도 별다른 문제가 없다)
다음 그림은 표준[1]의 PRBS 발생기 구조와 발생되는 코드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표준[1][2]에서 각 용도별 CDMA 코드의 수는 UCD에 의해서 단말로 알려지며, 각 용도별 CDMA 코드의 수는 0 ~ 255이다. ([1][2]의 Table 571 참조) OPNET에서는 기지국 attribute로 설정된 각 용도별 CDMA 코드의 수를 단말이 직접 읽어가며, 이러한 방식을 취한 것은 OPNET WiMAX 모델에는 UCD가 구현되어 있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OPNET에서의 각 용도별 CDMA 코드수의 범위는 0 ~ 256으로 표준과 1만큼 차이나는데, 코딩상의 버그라고 생각된다.
모든 CDMA 코드 갯수를 더한 총 갯수는 256개 이하여야 하며, OPNET에서도 WIMAXC_MAX_CDMA_NUMBER 값을 이용하여 이를 점검한다(단, CDMA 총 갯수가 256을 초과하더라도 경고 메시지만이 출력되고 시뮬레이션은 계속 진행된다).
[1] IEEE 802.16-2009, "Air Interface for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2009
[2] IEEE 802.16j-2009, "Air Interface for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Amendment 1: Multihop Relay Specification", 2009
'Riverbed Modeler(OPNET) > WiMAX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MAX 모델(93) - Neighbor Advertisement (표준과의 비교) (0) | 2014.04.27 |
---|---|
WiMAX 모델(91) - Neighbor Advertisement (0) | 2014.04.01 |
WiMAX 모델(88) - CDMA 메시지 (0) | 2014.03.02 |
WiMAX 모델(87) - BR ranging (표준과의 비교) (0) | 2014.02.24 |
WiMAX 모델(85) - BR ranging (0) | 2014.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