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그림은 Riverbed(OPNET) Modeler에서 AODV 프로토콜이 동작하는 WLAN 노드 모델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그런데, 해당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프로세서 모듈이 바로 식별되는 RIP나 OSPF와는 달리, AODV는 프로세서 모듈이 직접 보이지 않는다.
그럼 AODV 프로세스는 어디에 위치하는 것일까? 일반적으로는 UDP를 사용하는 AODV의 특성[1]을 고려하면 UDP 계층위의 manet_rte_mgr 프로세서 모듈에 위치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다음 그림처럼 ip 프로세서 모듈 내부에 차일드 프로세스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프로토콜 계층 구성은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주는 AODV 모델의 문제점이다. 사실 Riverbed(OPNET) Modeler에서는 계층 개념을 정확히 준수하지 않고도 충분히 표준에 맞는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프로토콜은 계층 구조를 준수하여 구현되어 있으며, 계층 구조에 맞지 않은 위치에 구현되어 있는 경우는 AODV 모델외에는 아직 보지 못했다.
[1] RFC 3561,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AODV) Routing", IETF, July 2003.
'Riverbed Modeler(OPNET) > AODV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ODV 메시지(3) - RREP 구조체 (0) | 2018.09.01 |
---|---|
AODV 메시지(2) - RREQ 구조체 (0) | 2018.05.01 |
AODV 메시지(1) - 패킷 포맷 (0) | 2017.09.05 |
AODV 라우팅 예제 (0) | 2016.03.01 |
AODV 홉 카운트 (0) | 2016.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