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 Hello 메시지("OSPF 메시지(1) - Hello 패킷 포맷" 참조)에 실제로 어떤 정보가 실려서 전달되는지, "OSPF 라우팅 예제"에서 사용한 예제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해보기로 하자. 다음은 "OSPF 라우팅 예제"에서 사용한 시험망 구조와, 시뮬레이션 수행시 실제로 할당된 IP주소 내역을 보인 것이다.
이 때, R1 노드에서 R2 노드로 전달되는 Hello 메시지 정보를 ODB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필드에 실린 정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type : OSPF 패킷의 종류. 1은 Hello Packet임을 의미.
- version : OSPF 버전. 2는 OSPFv2를 의미.
- Hello Interval : Hello 메시지 전송 간격. 단위는 초(sec).
- Router Dead Interval : 상대 라우터의 비활성화 여부 판단 시간. 단위는 초(sec).
- priority : DR 선출시에 사용되는 라우터 우선 순위. 1은 기본값.
- options : OSPF 옵션. 2는 ExternalRoutingCapability 비트가 설정되었음을 의미.
- Router ID : Hello 메시지를 보내는 라우터의 ID. 192.0.2.1은 이 예제망에서 R1 노드의 Router ID이다.
- Area ID : Hello 메시지가 속한 Area의 ID. 이 예제망에서는 Area가 설정되지 않았으므로, 0.0.0.0으로 지정된다.
- Network Mask : Hello 메시지를 보내는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Metwork Mask.
- DR : DR의 IP 주소. Point-to-point 네트워크에서는 DR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0.0.0.0으로 지정된다.
- Backup DR : BDR의 IP 주소. Point-to-point 네트워크에서는 BDR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0.0.0.0으로 지정된다.
'Riverbed Modeler(OPNET) > OSPF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PF 메시지(4) - 다중 홉에서의 Hello 전파 (0) | 2017.11.21 |
---|---|
OSPF 메시지(3) - Encapsulation (0) | 2017.06.01 |
OSPF 메시지(1) - Hello 패킷 포맷 (0) | 2016.10.23 |
OSPF DR(3) - 이웃 상태 (0) | 2016.08.23 |
OSPF DR(2) - Router Priority (0) | 2016.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