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verbed Modeler 18.11.1 버전이 2024년12월10일자로 발표되었습니다(이전 버전에 관한 내용은 "Riverbed Modeler 18.11.0 발표" 참조).  Release notes에는 12월16일자로 되어 있는데, 홈페이지에는 오히려 12월10일로 표시되어있습니다. 아쉽게도, 이번에도 메일 공지가 없었습니다.
Release notes를 통해 변경 사항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델 업데이트는 없으며, 다음과 같은 보안 업데이트만 적용되었습니다.

- Java Runtime Environment(JRE) 버전을 17.0.13으로 업그레이드
- Elastic Search libraries 제거

그동안 20년 넘게 OPNET(Riverbed Modeler)를 사용해왔지만, 이렇게 보안 패치만으로 버전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처음 보는 것 같습니다. 특이하네요.

Posted by 신상헌
,

Riverbed Modeler 18.11.0 버전이 2024년8월30일자로 발표되었습니다(이전 버전에 관한 내용은 "Riverbed Modeler 18.10.0 발표" 참조).  Release notes에는 8월29일자로 되어 있는데, 홈페이지에는 8월30일자로 되어있습니다. 아쉽게도, 이번에도 메일 공지가 없었습니다.
Release notes를 통해 변경 사항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델 업데이트는 1가지입니다.

- Wireless LAN Model Enhancement – IEEE 802.11ax Support Phase-I

WLAN 모델 개선 사항은 802.11ax High Efficient(또는 Wi-Fi 6 및 Wi-Fi 6E) 기술을 지원하기 사작했다는
것입니다. 금번에 지원되는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2.4 GHz, 5 GHz, 6 GHz 밴드에서 동작
  * 56-QAM 5/6, 1024-QAM 3/4, 1024-QAM 5/6 변조를 사용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률
  * 3가지 GI 옵션 (GI-LTF와의 조합 포함)
  * HE PPDU 포맷(HE SU PPDU, HE TB SU PPDU, Nominal Packet Padding, LDPC coding)
  * maximum A-MPDU size 증가
  * basic NAV and intra-BSS NAV
  * 수신된 PPDU에 대한 Intra/inter-BSS 구분
  * BSS Color
  * TXOP duration-based RTS/CTS
  * Multi-TID A-MPDUs
  * non-AP HE STA의 버퍼 상태 보고 
  * Contention free uplink access
  * Dynamic fragmentation – Level 1

그리고, WLAN 모델에서 Delayed Block ACK가 제거되었습니다.

또한, Red Hat Enterprise Linux 8 플랫폼을 지원하게 되었고, 모델러에서 사용하는 Java의 버전이 Java 17로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그 외에 버그 수정사항 4건도 있습니다만, 특별히 관심이 가는 내용이 아니라서 생략합니다.

Posted by 신상헌
,

OPNET Modeler는 17.1 버전부터 TCP Duplicate SACK[1]을 지원한다("OPNET Modeler 17.1 PL1 발표" 참조). 다음 그림은 사용자가 Duplicate SACK(D-SACK) 적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OPNET TCP 모델에서 제공하는 속성을 보인 것이다.

 


이 속성에서 선택 가능한 값은 Disabled와 Enabled이며, Enabled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SACK 속성 항목("TCP SACK(1) - 파라미터 설정" 참조)의 값이 Enabled 또는 Passive로 설정되어야만 한다. 기본값은 Enabled.

[1] RFC 2883, "An Extension to the Selective Acknowledgement (SACK) Option for TCP", IETF, Jul. 2000.
[2] RFC 2018, "TCP Selective Acknowledgment Options", IETF, Oct. 1996.
[3] RFC 3708, "Using TCP Duplicate Selective Acknowledgement (DSACKs) and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 Duplicate Transmission Sequence Numbers (TSNs) to Detect Spurious Retransmissions, IETF, Feb. 2004.

Posted by 신상헌
,